정보처리

현행 시스템 파악

오직노력 2023. 3. 10. 16:38

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

- 1단계(구, 기, 인)

  • 시스템 구성파악
    :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
  • 시스템 기능 파악
    : 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하부 기능, 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
  •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
    : 현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, 형식, 프로토콜, 연계 유형, 주기등을 명시
    => 데이터 형식 : XML, 고정 포맷, 가변 포맷 등
    => 통신규약 : TCP/IP, X25 등
    => 연계유형 : EAI, FEP 등
더보기

EAI(Enterprice Application Integeration)

- 기업 내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기 위한 솔루션

- 각 시스템 간 상호연동을 위해 하나의 EAI 솔루션을 두고, EAI에 정의된 인터페이스 규격에 맞춰 API를 송수신

 

FEP(Front End Processor)

- 통신 제어 및 처리를 위한 시스템, 금융 관련 거래 또는 B2B 연계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

- 한 기업 내에 다른 서버 간 통신이 아닌 외부 기업 또는 외부 서버와 내부 기업 서버를 연동할 때 사용

- 2 단계(아구, 소구)

  • 아키텍처 구성 파악
    :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
  •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
    : 단위 업무 처리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 웨어들의 제품명, 용도, 라이선스 적용 방식, 라이선스 수 등을 명시
더보기

시스템 아키텍처(System Architecture)

- 시스템 내부에서 각각의 하위 시스템들이 어떠한 관계로 상호 작용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,

- 구성이나 동작 원리를 표현한 것을 말함.

- 3 단계(하구, 네구)

  • 하드웨어 구성 파악
    : 단위 업무 시스템들이 운용되는 서버의 주요 사양과 수량, 그리고 이중화의 적용 여부를 명시한다. 
  • 네트워크 구성 파악
    : 네트워크 구성 파악을 위해 서버의 위치,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네트워크 구성도로 작성한다.
더보기

이중화(Replication)

- 운용 서버의 장애 시 대기 서버로 서비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,

- 운용 서버의 자료 변경이 예비 서버에도 동일하게 복제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